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디지털 뉴딜'을 추진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인 위기 속에서 디지털 기반 경제혁신 가속화 및 일자리 창출, 국민불안 해소 등을 동시에 만족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한다.
정부는 3일 역대 최대인 35조 3000억 원 규모로 편성한 3차 추경안을 발표했다. 이 중에서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8324억 원) △K-방역(397억 원) △민간 연구개발(R&D) 지원(204억 원) 등 총 8925억 원 규모의 사업 방안을 내놨다.
디지털 뉴딜 부문에서는 데이터(Data)·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을 뜻하는 D.N.A 생태계 강화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총 6671억 원이 투입되는 D.N.A 생태계 강화 방안으로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데이터 구축·개방 △과학기술 데이터 수집·활용 △5G 기반 정부 업무망 고도화 및 클라우드 전환 △전 산업 5G·AI 융합 확산 △AI·소프트웨어 핵심인재 양성 등이 포함됐다.
각종 빅데이터 플랫폼과 이와 연계된 센터를 추가로 구축하고 AI와 바이오, 소재 연구, 과학기술 기계 학습 등에 필요한 플랫폼을 마련한다. 공공분야 업무환경을 유선에서 5G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한 5G 실증 및 선도적용을 추진하고 중소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도록 범부처 협업을 통해 혁신 사례를 창출한다.
경제적 파급효과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전략 분야의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수요 창출형 AI 융합 프로젝트 7개 사업을 추진하고 AI 바우처 200개 기업 추가 지원, 5G 융합서비스 발굴 및 공공선도, VR·AR 콘텐츠 제작 지원도 실시한다. AI와 소프트웨어(SW)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전문 교육 프로그램 도입,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조성, 기존 재직자 전환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등도 시행할 계획이다.
디지털 포용 및 안전망 구축에도 1407억 원이 쓰인다. 지역 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도서 벽지 등 농어촌 마을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노후된 장비 교체 및 1만 개 공공장소에 공공 와이파이(Wi-fi)를 확대 구축해 공공 와이파이 품질 고도화를 꾀한다. 주민센터 등 생활 SOC를 '디지털 교육센터'로 운영해 전 국민의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원격 보안점검·비대면 서비스 보안 강화·양자암호통신망 시범 적용 등으로 K-사이버 방역체계를 완성한다.
코로나19 유행으로 활성화된 비대면 비즈니스를 위한 ICT 핵심 기술개발에도 175.1억 원을 사용한다. ICT 기업의 비대면 비즈니스 사업화 및 확산을 지원하고 현재 기술의 한계 극복 및 서비스 연계·응용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예산으로도 70.56억 원이 책정됐다. 노후 지하공동구에 무인이동로봇, IoT·AI 등을 접목해 실시간으로 안전 관리를 진행한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한국형 방역 패키지 마련 등을 포함한 'K-방역' 예산은 397억 원이다. 국내 기업과 출연연 등이 보유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후보물질이 신속하게 임상으로 연계되도록 지원(175억 원)하고 이동형 클리닉 모듈 시스템, 스마트 감염보호 장비, 스마트 진단 등 한국형 방역 패키지(222억 원)에도 힘을 보탠다.
민간 R&D 지원 예산 204억 원으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400개 기업연구소의 R&D 활동 유지와 핵심 연구인력 고용 유지를 위해 기본연구과제를 지원해 기업 성장동력 단절을 최소화한다.
과기정통부는 "전례 없는 코로나19 사태로 보건·경제 동반위기 하에 수요·공급 위축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글로벌 경제구조 변화상황에서 국내외 경기침체 심화로 고용상황 악화 장기화 및 신산업분야 투자 활력 저하가 우려된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우리 경제 전반의 비대면화와 디지털 전환 등 4차 산업혁명 가속화가 이뤄지는 만큼 한국판 뉴딜은 경제·사회 구조 변화 중 특히 비대면화·디지털화에 대응하고 디지털 기반 경제혁신 가속화 및 일자리 창출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3일 역대 최대인 35조 3000억 원 규모로 편성한 3차 추경안을 발표했다. 이 중에서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8324억 원) △K-방역(397억 원) △민간 연구개발(R&D) 지원(204억 원) 등 총 8925억 원 규모의 사업 방안을 내놨다.
디지털 뉴딜 부문에서는 데이터(Data)·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을 뜻하는 D.N.A 생태계 강화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총 6671억 원이 투입되는 D.N.A 생태계 강화 방안으로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데이터 구축·개방 △과학기술 데이터 수집·활용 △5G 기반 정부 업무망 고도화 및 클라우드 전환 △전 산업 5G·AI 융합 확산 △AI·소프트웨어 핵심인재 양성 등이 포함됐다.
각종 빅데이터 플랫폼과 이와 연계된 센터를 추가로 구축하고 AI와 바이오, 소재 연구, 과학기술 기계 학습 등에 필요한 플랫폼을 마련한다. 공공분야 업무환경을 유선에서 5G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한 5G 실증 및 선도적용을 추진하고 중소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도록 범부처 협업을 통해 혁신 사례를 창출한다.
경제적 파급효과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전략 분야의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수요 창출형 AI 융합 프로젝트 7개 사업을 추진하고 AI 바우처 200개 기업 추가 지원, 5G 융합서비스 발굴 및 공공선도, VR·AR 콘텐츠 제작 지원도 실시한다. AI와 소프트웨어(SW)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전문 교육 프로그램 도입,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조성, 기존 재직자 전환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등도 시행할 계획이다.
디지털 포용 및 안전망 구축에도 1407억 원이 쓰인다. 지역 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도서 벽지 등 농어촌 마을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노후된 장비 교체 및 1만 개 공공장소에 공공 와이파이(Wi-fi)를 확대 구축해 공공 와이파이 품질 고도화를 꾀한다. 주민센터 등 생활 SOC를 '디지털 교육센터'로 운영해 전 국민의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원격 보안점검·비대면 서비스 보안 강화·양자암호통신망 시범 적용 등으로 K-사이버 방역체계를 완성한다.
코로나19 유행으로 활성화된 비대면 비즈니스를 위한 ICT 핵심 기술개발에도 175.1억 원을 사용한다. ICT 기업의 비대면 비즈니스 사업화 및 확산을 지원하고 현재 기술의 한계 극복 및 서비스 연계·응용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예산으로도 70.56억 원이 책정됐다. 노후 지하공동구에 무인이동로봇, IoT·AI 등을 접목해 실시간으로 안전 관리를 진행한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한국형 방역 패키지 마련 등을 포함한 'K-방역' 예산은 397억 원이다. 국내 기업과 출연연 등이 보유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후보물질이 신속하게 임상으로 연계되도록 지원(175억 원)하고 이동형 클리닉 모듈 시스템, 스마트 감염보호 장비, 스마트 진단 등 한국형 방역 패키지(222억 원)에도 힘을 보탠다.
민간 R&D 지원 예산 204억 원으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400개 기업연구소의 R&D 활동 유지와 핵심 연구인력 고용 유지를 위해 기본연구과제를 지원해 기업 성장동력 단절을 최소화한다.
과기정통부는 "전례 없는 코로나19 사태로 보건·경제 동반위기 하에 수요·공급 위축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글로벌 경제구조 변화상황에서 국내외 경기침체 심화로 고용상황 악화 장기화 및 신산업분야 투자 활력 저하가 우려된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우리 경제 전반의 비대면화와 디지털 전환 등 4차 산업혁명 가속화가 이뤄지는 만큼 한국판 뉴딜은 경제·사회 구조 변화 중 특히 비대면화·디지털화에 대응하고 디지털 기반 경제혁신 가속화 및 일자리 창출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WIRED Kore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