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디지털 전환' 추진 국내 기업은 9.7%
상태바
'디지털 전환' 추진 국내 기업은 9.7%
DT 전담조직 보유 기업은 2.1%, 전담인력 보유 기업은 6.2% 수준에 그쳐
코로나 19사태로 기업 경영환경이 불확실해지면서 디지털 전환(DT)을 통한 업무 프로세스 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이를 적극 추진하는 국내 기업은 9.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이 DT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도록 법 제정, 인식 전환, 지원사업 추진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는 지난 5월 20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기업 1345개사(대·중견기업 49개사, 중소기업 1296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현황 및 계획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기업의 9.7%가 DT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일부 추진 중(20.9%)인 기업을 합쳐도 30% 수준에 그쳤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중견기업의 DT 추진 비율(48.9%)이 중소기업(29.9%)보다 높았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DT를 추진하게 된 기업은 3.5%, DT를 계획한 기업은 12.9%였고 코로나19가 DT 추진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응답한 기업은 83.6%였다.

DT를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기업도 많지 않았다. DT 전담조직을 보유한 기업은 전체의 2.1%(DT 추진기업의 6.8%), DT 전담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전체의 6.2%(DT 추진기업의 20.5%)였으며, DT 추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이나 로드맵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전체의 6.5%(DT 추진기업의 20.9%)에 불과했다.

 
[사진=UNSPLASH]
[사진=UNSPLASH]

DT를 추진하는 기업이 집중하는 분야는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63.1%) △제조공정 스마트화(45.1%)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44.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은 '제조공정 스마트화(26.8%)', IT/서비스업은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28.9%)'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여 산업 유형에 맞는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DT를 추진하고 있지 않은 기업 중에서 '앞으로 DT를 추진계획이 없는 기업(36.8%)'이 'DT 추진계획이 있는 기업(21.8%)' 보다 더 많았다. 향후 DT 추진계획이 없는 이유로는 △비즈니스 특성상 필요 없어서(41.3%) △재정적 여건이 안돼서(30.9%) △전문인력 확보가 어려워서(24.5%) 순이었다.

DT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는 시스템 및 설비(20.2%), 전문인력(18.5%), 추진방법에 대한 정보(17.7%) 등이었다. 대·중견기업의 경우 '조직내 공감대(17.3%)'가, 중소기업은 '추진방법에 대한 정보(18.1%)'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DT 촉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의 지원정책은 △전문인력 양성 및 확보(32.8%) △관련 정보 제공(26.7%) △데이터 공유/활용 체계(20.1%) △관련 교육, 포럼, 세미나(15.7%) 순으로 제시됐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코로나19 위기극복과 산업 기술의 질적 성장을 위해 '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특별법'을 제정해 제조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확산하기 위한 추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 분야 전문인력의 양성과 DT 가이드를 통한 정보제공 등 기업의 DT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과 함께 기업 간 협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의 지원정책. [사진=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의 지원정책. [사진=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와이어드 코리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