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당신의 면접관은 AI입니다”
상태바
“당신의 면접관은 AI입니다”
점점 더 많은 회사가 AI를 채용과정에 이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한국의 라이프스타일과 산업 현장 곳곳에 쓰이는 인공지능(AI). 어느 지원자를 채용할지 결정하는 과정에서 점점 더 많은 회사가 AI의 힘을 빌리고 있다는 사실은 그리 놀랍지 않다.

AI 기반 채용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SK 하이닉스, LG 전자, 넥센타이어, 그리고 마이다스아이티 등의 유명한 회사들이 AI를 채용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심지어 최근에는 한 대학교가 입학원서를 받는 과정에서 AI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더 많은 회사들이 하루가 다르게 똑똑해지는 AI를 채용과정에 활용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물론 부정적 견해도 있지만, AI의 잠재력은 절대로 무시할 수가 없다.

AI가 활용되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입사 지원자가 회사에 제출하는 문서를 검토하는 작업에 쓰인다. 표절이나 거짓 주장을 찾아내는 데 주로 쓰인다. AI 프로그램은 문서를 읽고, 온라인에 게재되었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올라온 문서와 대조한다.
 

[사진=엄다솔/와이어드 코리아]
[사진=엄다솔/와이어드 코리아]

다른 쓰임새는 목소리와 얼굴 표현을 인식하고, 그를 바탕으로 사회적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AI 면접 프로그램이다. 사전에 준비된 질문에 지원자가 어떤 식으로 반응하는지 알아보고, 채용에 적합한 인재인지 판단한다. 굳이 따지자면 직무 적합성 평가와 유사하다.

서울에 있는 스타트업인 제네시스랩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이런 AI 면접 기능을 수행한다. 지원자의 비언어적 표현을 바탕으로 면접 당시의 기분을 판정하고, 그의 사회성이나 성격 유형을 판별한다.

제네시스랩의 이영복 CEO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저희 프로그램은 (회사가) 지원자들의 대화 능력이나 (업무나 인간관계에 대한) 태도 등의 사회적 역량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라고 밝혔다.

지원자는 보통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달린 카메라를 앞에 두고 AI 면접을 본다. 회사가 지원한 인재에 대해 어떤 걸 묻고 싶어 하느냐에 따라 질문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는 지원자에게 자기소개부터 부탁하는 식이다.

또 자주 묻는 질문은 문제 상황에서 지원자에게 어떤 식으로 대처할 것이냐고 묻는 돌발 질문이다. 예를 들어, “친구와 함께 여행을 나왔다. 만약 친구가 내가 예약한 호텔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혹은 “이삿짐센터가 이전 집에 내 냉장고를 깜박 잊고 두고 나왔다. 이삿짐센터 담당자에게 뭐라고 할 것인가?” 등의 질문을 묻는다.

만약 지원자가 희망하는 직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싶다면, AI 면접 중에 전문적인 질문을 묻는 채용 담당자도 있다. 어떤 AI 면접은 지원자와의 게임을 하면서 얼마나 직무에 적합한 사람인지 관찰하기도 한다.

AI가 인간 면접관을 대신하는 사례는 최근 빈번하게 보도되고 있다. 마이다스아이티에 따르면 채용과정에 AI 면접 프로그램을 도입한 회사의 수는 약 200여 곳에 달한다고 한다.

게다가 지난 9월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직원 수 300명 이상 기업 중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20% 이상이 ‘신규채용 과정에서 AI를 활용할 계획이 있거나 이미 활용한다’고 답했다.

학교를 갓 졸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1년에 한 번 대규모 공개채용을 진행하는 기업들에게는 AI 도움이 클지도 모른다. 수천 개에 달하는 지원서를 한정된 숫자의 인사 담당자가 한 번에 처리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AI 소프트웨어를 전문적으로 서비스하는 회사 노루의 CEO 켄 박(Ken Park)은 “AI 면접 프로그램의 도움으로 인사팀은 많은 양의 지원서를 처리하는 데 들어가는 시간이나 에너지를 아낄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또 회사의 입장에서 보면 먼 곳에서 오는 지원자들에게 제공되는 교통비나 숙박비 등의 비용을 아낄 수도 있다.

아울러 AI 면접의 경우 외부의 영향이나 개인적 편견 등이 채용과정에 반영이 될 가능성이 낮다는 점이 장점이다. 정치인 등 소위 권력을 거머쥔 사람이 자신의 자녀를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과정에 특혜를 입은 사건은 여럿 있어왔다. 또 면접관도 인간인 이상 지원자의 외모나 사투리 등의 편견을 아예 갖지 않을 수는 없다.

AI 면접의 결과가 취업의 당락을 결정짓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결과 자료는 자격이 되지 않는 사람을 걸러내거나, LG 전자나 넥센타이어의 경우처럼 단순히 참고 자료로만 사용된다. 그렇지만 작년 하반기 약 4000여 명의 사람들이 제약사 AI 면접에서 탈락했다는 가슴 아픈 소식도 있다.

AI 면접이 미래에 얼마만큼 영향력을 갖추게 될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 알고리즘이 더 정교화되고 머신러닝 기술이 발달하면서 AI는 이제 세계 바둑 챔피언보다 바둑도 잘 두게 되고, 의사보다도 엑스레이(X-ray) 필름을 잘 읽게 됐다.

그럼에도 어느 취업 컨설팅 코치(내일발전소 진로/취업 코치 김도윤)의 설명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그는 "AI 면접은 쉽게 말해 거짓말 탐지기와 같다"면서 "그 원래 목적은 제출한 지원서에 적힌 설명과 지원자가 부합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이 AI 시대를 사는 대면법이 될 것이다. 

<영어 원문 기사>

AI Interviews Gaining Momentum

와이어드 코리아=엄다솔 기자 insight@wired.kr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