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고전 게임 리메이크 표준 설정
상태바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고전 게임 리메이크 표준 설정
최신 기술을 활용해 고전 게임의 시각적 요소에 활기를 불어넣음과 동시에 고전 게임의 단점을 축소한 것이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은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게임 방식보다는 더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By ERIC RAVENSCRAFT, WIRED US

한정판이 아티스트에게 축복이 될 수 있다는 점은 다소 역설적이다. 닌텐도 64(Nintendo 64)의 오리지널 페이퍼 마리오(Paper Mario)를 그 대표적인 예시로 언급할 수 있다. 시스템은 다양한 다각형 형태만 다룰 수 있었던 데다가 다각형 형태의 귀여운 수집품을 모두 모으기 어려웠다. 이에, 닌텐도는 단순한 평면으로 구성된 세계를 제작했다. 페이퍼 형태의 RPG 게임은 활기를 불어넣었다. 이후 페이퍼 닌텐도는 오랫동안 인기를 유지한 상징적인 마리오 게임 시리즈로 이름을 올렸다. 현대 고해상도 버전으로 재구성한 ‘페이퍼 마리오 100년의 문(Paper Mario: The Thousand-Year Door)’이 초기 버전의 인기를 반감하는 요인이 되리라 확신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가?

그렇지 않은 듯하다.

1993년,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The Legend of Zelda: Link’s Awakening)’이 2019년에 재구성되지 않았더라면, 그래픽 업그레이드로 고전 게임 경험을 향상할 수 있다는 주장에 의구심이 생기기 쉬웠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레이어와 게임 산업 전반을 살펴보면, 그래픽 성능 향상이 ‘현실성 강화’와 비슷한 의미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은 생동감과 향수를 더하는 장난감과 같은 미적 요소를 부여한 스위치의 능력을 활용하면서 오리지널 버전의 느낌을 유지하여 그래픽 성능 향상이 현실성 강화라는 인식을 깼다.

그러나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은 다른 문제를 다룬다. 오리지널 게임은 게임큐브(GameCube) 형태로, 2세대 게임은 3D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게임 콘솔 버전으로 출시됐다. 당시 게임의 미적 요소는 그 시대 여느 게임과 마찬가지로 종이로 제작한 평면 형태라는 인식이 굳어졌다. 어떤 게임이든 고전 게임을 재구성한 게임은 더 선명한 메모리를 갖추어 팬의 마음을 충족해야 한다. 바로 스위치가 새로이 선보인 페이퍼 마리오 재구성 버전이 감탄을 자아내는 이유이다.
 
[사진=Nintendo Newsroom]
[사진=Nintendo Newsroom]

깊이 더한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필자는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의 세계가 종이로 제작한 세계처럼 보인다는 점에 처음 화를 냈다. 이때 필자가 원하던 페이퍼 마리오 재구성 버전이 닌텐도가 실제로 출시한 버전과 다르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2004년도에 출시된 오리지널 버전을 돌아보면, 다각형 요소가 적은 편이다. 새로이 출시된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도 종이를 잘라 게임 속 세계를 구성한 것과 같은 인상을 남기므로 오해는 없기를 바란다. 게임 속 대다수 요소가 컴퓨터에서만 마법과 같이 나타날 수 있는 일종의 무한한 평면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실제로 종이도 오리지널 버전과는 아주 적은 차이이지만, 깊이를 더했다. 특히, 다이오라마를 제작할 때 예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단단한 종이로 제작된 듯한 느낌이 강하다. 닌텐도는 2024년 새로 선보인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을 제작하면서 한 가지 간과하기 쉬운 사실에 특별히 집중했다. 바로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이 고전 게임 재구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만한 신규 게임이라는 사실이다.

오리지널 게임 속 마리오와 친구들은 검은색 윤곽이 있는 평면 이미지로 등장하여 컴퓨터 그래픽이 아닌 그림처럼 보인다. 게임 디자인 자체는 고전 게임 재구성 요소임을 나타내지만, 캐릭터 모델 가장자리에 흰색 하이라이트가 희미하게 등장하는 것도 볼 수 있다. 실제 종이를 잘랐을 때 볼 수 있는 종이 여백과 비슷한 느낌이다. 매우 미세하지만 만연한 특징이자 게임 캐릭터 모델이 실제로 종이를 잘라 완성되었다는 느낌을 부여하는 요소이다.

게임 속 세계의 모든 요소가 상세한 부분에서도 종이를 자른 듯한 느낌을 살렸다. 로그포트(Rogueport)에 처음 진입하면, 올가미가 있는 중앙 광장에 플랫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리지널 버전에서는 목재 계단이 곧게 뻗은 평면 이미지로 나타나며, 모든 요소가 앵글 안에 들어온다. 배경 요소를 훌륭하게 살린 셈이다. 또, 종이를 잘라 완성한 듯한 평면 올가미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배경 효과가 성공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반면,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속 계단은 약간 구부러져 조잡한 모습이다. 계단의 옆면은 마치 아이가 강한 힘을 가하면서 계단을 배경 속에 끼워 넣은 것처럼 구부러진 것처럼 보인다. 계단은 간신히 바닥 위에 서 있는 듯한 모습이다. 바람이 약간 불면, 계단 전체가 날아갈 것처럼 보인다. 중요하지 않은 부분처럼 보이지만, 게임 배경 속 상세 표현은 페이퍼 마리오의 세계에 손쉽게 빠져들도록 하는 요소이다.

현대 콘솔 게임의 그래픽 개선 사항이 초기 고전 게임의 디자인 선택을 강화한 상황 중 하나이다. 스위치 그래픽은 마리오와 친구들의 모습에 현실성을 추가로 부여했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게임을 보면, 슈퍼마리오 64에 등장하는 마리오의 종이 모델처럼 손수 제작한 듯한 모습을 더한다.

더 복잡한 모델과 조명 및 반사 시스템 개선, 해상도 질감 향상 등 재구성 요소를 더한 풍부한 상세 표현은 몰입감과 만족감을 훨씬 더 높일 정도로 환상을 부여한다.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속 모든 새로운 설정을 보면, 게임의 모든 측면을 재구성하기 위한 노력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편의성 개선
충실한 재구성이 무조건 이상적인 고전 게임 재구성 방식이 되는 것은 아니다. 다행히도 닌텐도도 동의하는 부분이다.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은 오리지널 버전에는 없으나 추가했다면, 환영할 만한 기능도 몇 가지 제공한다.

필자는 추가 기능 중 파트너 링(Partner Ring)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오리지널 게임에서는 직접 메뉴를 열고, 게임을 함께할 캐릭터를 직접 선택해야 했다.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번거롭다.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에서는 L 키를 누르고, 컨트롤 스틱을 기울여서 캐릭터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게임을 대체하는 지름길은 아니지만, 편의성을 더한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기능이다.

전투에서 패배했을 때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옵션에도 비슷한 편의성이 추가됐다. 오리지널 게임에서는 전투에서 패배했다면, 마지막 생존 시점으로 다시 실행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간혹 실제로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지점이 새로운 시작점으로 등장한다는 점이 가끔 짜증을 유발할 수도 있었다.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에서는 패배 후 지도의 가장 최근 구역으로 돌아갈 수 있는 ‘다시 시작하기’ 옵션이 새로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화면으로 다시 돌아가는 번거로운 과정을 대거 단축한다.

이 외에도 수집할 수 있는 코인 개수 상한선 상승, 조금 더 큰 시작 인벤토리 등 플레이어가 반길 만한 몇 가지 추가 기능을 더 언급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게임은 고전 게임을 떠올릴 만큼 과거에 즐기던 것과 똑같다.

닌텐도는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처럼 올바른 영역에서만 개선 사항을 바탕으로 고전 게임을 처음부터 재구성했다. 닌텐도가 오리지널 게임의 효과적인 요소 변경을 거부한 점도 게임에 적용한 요소가 개선될 수 있는 수준만큼 인상적이었다. 오리지널 게임을 좋아한 플레이어나 ‘페이퍼 마리오’를 접한 적이 없는 플레이어 모두에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은 즐거운 게임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 위 기사는 와이어드US(WIRED.com)에 게재된 것을 와이어드코리아(WIRED.kr)가 번역한 것입니다. (번역 : 고다솔 에디터)

<기사원문>
Paper Mario: The Thousand-Year Door Sets the Standard for Classic Game Remakes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