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플렉서블 스마트기기 핵심소자, 가격 낮추고 성능 올린다
상태바
플렉서블 스마트기기 핵심소자, 가격 낮추고 성능 올린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수직으로 쌓은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플렉서블 스마트기기의 핵심소자인 유기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쌓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 성능을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 차세대 스마트기기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플렉서블 스마트기기는 한 면을 접는 폴더블, 돌돌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롤러블, 화면을 잡아당겨 늘리는 스트레처블 등 유연한 차세대 스마트기기를 말한다.

KRISS 소재융합측정연구소의 임경근 선임연구원, 독일 드레스덴 공대, 홍콩 중문대 공동연구팀은 비싸고 복잡한 공정 없이 간단한 전기화학적 공정만으로 유기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쌓았다. 기존 수평 방식의 유기 트랜지스터보다 구동 속도 증가, 전류 증가, 전압 감소 등 모든 부분에서 개선을 이뤄 정보처리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

 
임경근 KRISS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선임연구원.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KRISS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선임연구원.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재 상용화된 폴더블폰은 디스플레이 한 면만 접었다 펼 수 있게끔 만들어졌다. 디스플레이 전체를 구부리고 늘려 손목시계처럼 차고, 신문지처럼 둘둘 말아 사용하려면 기기 내 탑재되는 정보처리 및 정보저장 반도체 소자, 배터리 등 모든 부품이 유연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의 성능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성능이 결정되기에, 이의 상용화를 위해선 값싸고 유연하며 고성능인 트랜지스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기물의 유연한 성질을 이용한 유기 트랜지스터는 가볍고 유연하며, 소재의 가격도 저렴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무기물 반도체보다 구동 전력이 크고 반응시간이 느려 트랜지스터로서 성능이 제한돼 왔다.

대다수 기업과 연구소 등은 반도체 소자를 조밀하게 배열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 관통전극 등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술은 하나의 소자를 깎고 붙여 만드는 수작업과 같아서 기술 난이도가 크며 비용이 많이 든다. 무기 반도체에 적용되는 기술은 유기 반도체에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임경근 KRISS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수직으로 쌓은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KRISS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수직으로 쌓은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대표적 전기화학적 공정인 아노다이징(anodizing)에 주목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에 응용했다. 기존의 깎아내고 붙이는 방식이 아닌, 화학반응을 통해 미세 구조체를 아래에서부터 쌓는 방식을 개발했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전기화학적 처리만으로 나노미터(㎚) 간격으로 미세하게 배열된 반도체 소자의 전극을 손쉽게 제작하고, 전자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해 수직구조 트랜지스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임경근 KRISS 선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궁극적으로 형태가 자유롭게 변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반도체 소자와 같은 차세대 스마트기기의 개발 시기를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5.621)에 게재됐다.

 
아노다이징이 적용된 유기 수직구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모식도(왼쪽)와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아노다이징이 적용된 유기 수직구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모식도(왼쪽)와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와이어드 코리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COMMENDED